728x90

튀르키예 #에르도안 #거꾸로가는새로운튀르키예 #중앙아시아 #고구려 #흉노 #돌궐 #형제의나라 #혈맹 #우방 3

🇹🇷 튀르키예야말로 현상 유지(status quo)가 답이다 – 2

튀르키예에서 매년 8월 30일은 '승전기념일'이다. 무슨 전쟁? 그리스와 한판 싸웠다. 그런데 이 전쟁을 설명하려면, 일단 제1차세계대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제1차세계대전 직전 1913년 오스만제국 지도를 보자 (아래 사진). 지금 튀르키예 지역과 남쪽에 아랍 지역들만 남은 상태였다. 그런데 오스만제국은 독일 쪽으로 줄을 잘못 섰다가 패전국이 됐다. 독일•오스트리아처럼 승전국에 점령당한 후 땅을 뺏길 각오를 해야 했다. 이럴 때 제국을 지키겠다고 들고일어난 쪽은 민초들이었다. 우리로 치면 의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오스만제국 술탄은 수도 이스탄불에서 도대체 뭘 하고 있었느냐? 승전국의 심기를 건드리는 의병을 토벌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그런데 이 임무를 맡은 사람이 간도 크게 술탄의 명을 거역하고..

🇬🇷 그리스는 현상유지(status quo)가 답이다 – 1

우리는 흔히 서기 476년 서로마제국이 멸망하면서 유럽이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갔다고 배운다. 그런데 서기 330년부터 로마제국의 수도는 콘스탄티노플/비잔티움(현 이스탄불)이었고, 이쪽 동로마/비잔티움제국은 1453년까지 살아있었다. 1453년, 비잔티움 제국, 즉 로마제국을 멸망시킨 나라가 바로 오스만제국이다. 전에 '파노라마 1453'이라는 박물관에 간 적이 있다. 그곳에 가면 1453년 오스만제국 술탄 메흐메트 2세가 어떻게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했는지 당시 상황을 실감 나게 재현해 놓았다 (아래 사진 참조). 이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는데 바로 그리스 친구로부터 기분 나쁜 사진을 올린 의도가 뭐냐고 항의 – 반대로 콘스탄티노플 함락(fall)이라고 쓰니 터키애들이 정복(conquest)이라고 거품을..

🇰🇷🇹🇷 '형제의 나라'라는 근거?

우리나라에서 형제의 나라가 어디냐고 질문하면 십중팔구 튀르키예라고 답한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튀르키예에서 형제라는 소리를 한 번도 못 들어본 난 이게 아직도 불가해다. 왜? 6•25 참전국이라서? 그러면 미국, 영국부터 해서 에티오피아, 필리핀, 태국, 콜롬비아도 우리 형제여야 한다. 미국은 냉전에서 자기 이익 때문에 참전했다고? 튀르키예는 안 그랬을까? (튀르키예 한국전 파병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 참조). https://m.blog.naver.com/drkedy/223016339353 🇹🇷 튀르키예(터키) 한국전쟁 파병(feat. 지하드)얼마 전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를 도우려는 각계의 훈훈한 소식을 접하면서 튀르키예가 우리의 &#x...blog.naver.com 한편 같은 종교 신자들끼리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