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마을 딴 가족

🇹🇷 튀르키예(터키) 한국전쟁 파병(ft. 지하드)

닥터 케디 2023. 2. 15. 11:10
728x90

얼마 전 강진으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를 도우려는 각계의 훈훈한 소식을 접하면서 튀르키예가 우리의 '형제의 나라'가 된 계기가 6•25(한국전쟁)였음을 밝히고, 튀르키예가 한국전쟁에 파병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거꾸로 가는 새로운 튀르키예」 참고).

튀르키예(터키)가 한국전쟁에 파병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국안보 때문이었다. 이전에 말했다시피 냉전이 도래하면서 튀르키예는 미국 주도의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NATO)에 가입해야 했다(아래 링크).
https://drkedy.tistory.com/m/47

🌎🇹🇷 나토와 튀르키예(터키)

나토(NATO)는 냉전기 소련을 위시한 공산세력의 위협을 막기 위해 탄생했다. 소련과 국경을 접한 튀르키예는 초강대국 미국이 주도하는 이 안보체제에 들어가고 싶었다. 그러나 말 그대로 '북대

drkedy.tistory.com


황당하게도 우리와 튀르키예의 선조 고구려와 돌궐이 수•당에 맞서 동맹을 맺은 형제였고 그 인연이 한국전쟁 파병까지 이어졌다는 주장이 있다. 과연 고구려와 돌궐이 항상 좋은 관계였을까?

그리고 우리는 튀르키예를 잊었지만 튀르키예는 오래전부터 교과서에 한국인을 형제로 기술해 왔고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형제의 나라를 돕기 위해 파병을 했다는 주장도 있다. 도대체 튀르키예 어디에 그런 교과서가 있는지 아는 분 제보 부탁드린다.

아무튼 튀르키예 입장에서 나토의 일원이 되는 것만이 소련의 위협으로부터 확실한 안전을 보장받는 길이었고, 기꺼이 공산세력과 싸우겠다는 성의를 서방세계에 보여주어야 했다. 마침 그때 한국전쟁이 일어났고 1950년 5월 출범한 튀르키예 민주당 정권은 즉각 파병을 결정했다.

한국전쟁 파병 결정을 보도하는 당시 신문기사

안보라는 실리적 이유도 있지만 참전할 때는 명분이 중요하다. 오스만제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개입했다가 패전한 후 침입한 외세를 물리치고 건국한 튀르키예 공화국은 철저한 현상유지와 중립노선을 견지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도 중립이었다.

새로 수립된 튀르키예 민주당 정권의 한국전쟁 파병은 기존 중립노선을 깨는 것이었고, 해외파병을 정당화할 명분이 필요했다. 민주당 정권은 종교담당부서 종무국을 통해 한국전쟁을 '지하드(jihad), 즉 성스러운 전쟁(聖戦)'으로 규정하고 —지하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여기서 지하드는 이슬람 세계를 방어하는 성격으로서 알카에다 같은 단체가 표방하는 테러와 다르다— 선전함으로써 국민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

그런데 한국은 이슬람 세계가 아닌데 어떻게 지하드가 되었을까? 바로 무신론(無神論)을 퍼뜨리는 공산주의가 이슬람의 적이었기 때문에 공산세력의 침략에 대항해서 싸우는 한국전쟁은 지하드가 될 수 있었다. 파병군인은 이슬람 용사, 전사자는 순교자가 된다. 한국전쟁에서 튀르키예군은 '알라후 에크베르(Allahu ekber 신은 위대하다)' 돌격으로 용맹을 떨쳤다.

결론적으로 한국전쟁을 통해 튀르키예는 다른 UN 참전국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혈맹'이자 '형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튀르키예 최애 형제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
https://drkedy.tistory.com/m/26

🇹🇷🇦🇿 형제의 나라

많은 한국인은 튀르키예를 형제의 나라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튀르키예는 어느 나라를 형제의 나라로 생각할까? 일단 튀르키예는 그 형제가 엄청 많다. 튀르크계 국가들과 무슬림 국가들은 거

drkedy.tistory.com


이 글을 통해 튀르키예 참전용사와 그 가족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국민에게 심심한 위로를 전한다.


https://naver.me/x3q1e4yR

우리가 몰랐던 혁명의 세계사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244379

거꾸로 가는 새로운 튀르키예 | 김덕일 - 교보문고

거꾸로 가는 새로운 튀르키예 | 민주주의를 둘러싼 세속주의와 이슬람주의의 대결장 총통-칼리프를 꿈꾸는 에르도안의 실체《거꾸로 가는 새로운 튀르키예》는 오스만 제국의 멸망과 튀르키예

product.kyobobook.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