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년법(紀年法), 즉 올해가 몇 년도인지 언제, 무엇을 기준으로 기산하는지 보면 한 나라의 정체성이 보인다.
동아시아에서는 북한은 김일성이 태어난 해를, 일본은 새로운 텐노가 즉위한 해를 원년으로 각각 주체와 연호 레이와(令和)를 쓴다. 일본 드라마▪︎영화를 보다 보면 메이지, 다이쇼, 쇼와, 헤이세이 몇 년과 마주칠 수 있다. 태국은 불교 국가답게 불기(佛紀)를 쓴다.
여기서 연두색으로 칠해진 이슬람 문명의 특이성이 발견된다. 많은 이슬람권의 국가들이 예언자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옮겨가 첫 이슬람 공동체를 세운 히즈라(Hijrah)를 원년으로 하는 이슬람력(태음력)을 사용한다. 이란만은 태양력 히즈라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역시 이란이다.
그러나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 중에서도 구소련에 속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튀르키예는 예수의 탄생 기준 서기(西紀)를 사용한다. 특히 튀르키예는 1925년 이슬람력 대신 서구의 그레고리력을 도입함으로써 유럽의 일원이 되는 길을 택했다.
우리나라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기를 쓰고 있다. 그러나 B.C.2333년 기준 단기(檀紀)도 병행해서 표기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
https://naver.me/x3q1e4yR
우리가 몰랐던 혁명의 세계사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728x90
'지구마을 딴 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튀르키예는 독재로 갈까? (0) | 2023.01.20 |
---|---|
⚖️ 사법의 정치화 (0) | 2023.01.19 |
🗳 독재자는 국민투표를 좋아해 (0) | 2023.01.15 |
🌎 올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는? (0) | 2023.01.13 |
🇮🇷 왜 종교 국가는 안 되는가? (0) | 2023.01.12 |